티스토리 뷰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대지진 이후 붕괴된 서울을 배경으로 살아남은 이들이 마지막으로 남은 아파트에서 벌이는 이야기다. 재난 상황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본성과 공동체의 붕괴, 그리고 권력의 생성을 날카롭게 그려낸 이 작품은 단순한 생존 그 이상을 다룬다. 이 글에서는 재난 영화로서의 긴장감, 생존을 둘러싼 갈등, 인간 본성의 드러남을 중심으로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분석해본다.

재난 이후, 살아남은 자들의 도시: 재난 영화의 새로운 해석

영화는 한순간의 대지진으로 모든 것이 무너진 서울을 배경으로 한다. 그러나 건물 하나, 황궁 아파트만이 기적적으로 무너지지 않았다. 이 아파트에 남은 사람들과 외부에서 몰려드는 피난민들, 그리고 이들을 관리하려는 ‘임시정부’의 시작이 곧 이 영화의 중심이다. 전통적인 재난 영화가 외부 위협에 집중했다면,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재난 이후 ‘사람’이 가장 무서운 존재가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초반에는 이웃 간의 협력과 질서가 강조되지만, 상황이 악화되며 이타심은 점차 사라지고, 배제와 독점, 폭력으로 이어진다. 서울이 무너진 그 순간부터, 아파트는 국가가 되고, 주민 대표(이병헌 분)는 권력자가 된다. 이 설정은 단순한 서바이벌이 아닌, 재난을 배경으로 한 사회 정치적 실험으로 읽힌다.

생존을 위한 선택, 그리고 무너지는 윤리

이 영화는 끊임없이 관객에게 질문을 던진다. "누가 안으로 들어와야 하고, 누가 밖에 있어야 하는가?" "생존을 위해 타인을 밀어내는 것은 정당한가?" 주민들은 외부인을 추방하고, 내부에서는 비판자를 억압한다. 이 과정은 민주적 회의와 절차로 진행되지만, 실질적 권력은 극소수에게 집중된다. 이병헌이 연기한 ‘영탁’은 처음에는 소심한 평범한 사람이었지만, 점점 권력을 쥐며 독재자 같은 존재로 변해간다. 그 변화의 과정이 너무나도 현실적이라 소름이 돋을 정도다. 그리고 박서준, 박보영 등 다양한 인물들의 시선에서 갈등 구조가 중첩되며 이야기의 깊이를 더한다. 이 영화는 단순히 ‘선한 자와 악한 자’를 나누지 않는다. 모두가 절박하고, 모두가 무너져간다. 그것이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주는 불편한 진실이다.

인간 본성의 민낯을 드러내는 서사

재난이라는 극단적 조건은 인간의 본성을 가장 선명하게 드러낸다. 초기에는 연대와 책임이 강조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개인의 욕망이 드러나고, 공동체는 분열된다. 이병헌은 카리스마보다는 ‘무서운 현실감’으로 인물을 만들어낸다. “우리끼리라도 살아야지”라는 말은 이기심이 아닌, 현실적 절박함처럼 들린다. 그러나 바로 그 말이 공동체를 붕괴시키는 시작점이 된다. 영화의 후반부로 갈수록 유토피아는 디스토피아로 바뀌고, 관객은 자신이 과연 어떤 선택을 했을지 질문하게 된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단지 한국형 재난 영화의 진화라기보다, 사회 실험 영화에 가깝다. 지진보다 무서운 건, 바로 사람이라는 메시지를 잊지 못하게 한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단순한 재난 영화가 아니다. 그 안에는 공동체에 대한 질문, 인간의 본성에 대한 탐구, 권력과 생존의 충돌이 있다. 현실과 멀지 않은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불편한 질문을 마주하게 된다. 이 영화는 한 편의 흥미로운 SF가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축소판일지도 모른다. 깊이 있는 재난 영화를 찾는다면,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꼭 봐야 할 작품이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